한국은행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.5%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과 지난달에 이어 세 차례 연속 동결한 건데요.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2개월 만에 3%대로 내려오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든 데다,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수출 부진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이창용 한은 총재가 곧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준금리 동결 결정 배경을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] <br />변화를 살펴보면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양호한 성장 흐름을 나타내고 있지만 주요 국 통화긴축 지속과 은행 등의 불안을 요인으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. <br /> <br />주요국별로 보면 미국과 유로 지역은 고용 상황이 여전히 견조하지만 견조주요국의 인플레이션은 둔화 흐름을 이어갔지만 둔화 속도는 완만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.9%로 3월 5.0%에서 0.1%로 낮아지는 데 그쳤고 근원물가 상승률은 금년 1월부터 5.5에서 5.6% 수준에 머물러 있는 듯 경직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금융시장에서는 주요 가격 변수가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에 주로 영향받아 변동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미 달러화는 미 연준이 금리인상 종료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약세를 보이다가 5월 중순 이후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미국의 경제지표, 부채한도 협상 등에 영향받으며 등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국의 장기 국채금리도5월 중순 이후 상승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경기는 1/4분기 성장률이 플러스로 전환되었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 둔화 흐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가 회복되고 있지만 회복세는 완만한 모습이며 IT 경기 부진과 중국 경제 회복의 영향 제약 등으로 수출 감소세와 낮은 투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 상황을 보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.7%로 2022년 2월 이후 처음으로 3%대로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석유류 가격의 하락 폭이 확대되고 가공식품 가격의 상승률도 낮아지면서 당초 예상한 대로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단기 기대인플레이션도 5월 3.5%로 전월 3.7%보다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4월 근원인플레이션은 개인 서비스 가격의 높은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전월과 동일한 4.0%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금융외환 시장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52511111318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